이 력 서
|
●생년월일 : 1973년 7월 1일
●학력 대구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전공 박사과정(2004.3 -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 전공 석사 (1999. 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학사 (1996. 8)
●경력 2005.1 ~ 천주교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비상근 정책기획연구원 2004.3 ~ 대구대학교 강사 2004.1 ~ 2008.12 (사)대구경북환경연구소 연구기획부실장 2001.10 ~ 2002.3 (사)대구경북환경연구소 사무국장 2000.5 ~ 2000.12 유전자조작식품반대 생명운동연대 간사 1999.8 ~ 2001.7 (사)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연구원 1998.10 ~ 1999.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위촉연구원
●연구 프로젝트 2005.5~2005.10 연구보조원(한양대 정규호 연구교수) "정보기술과 자연자원 관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1세기 메가트렌드" 공간환경영역 소과제) 2004.12~2005.11 연구책임자 <First the Seed - the political economy of plant biotechnology> (Kloppenburg, 1988) (학술진흥재단 2004 동서양학술명저번역지원사업) 2000.6~2001.5 공동연구원(이화여대 사회생활학과 지리교육전공 이영민 교수와 공동), "환경갈등과 저항운동의 변주곡: 팔당 상수원 지역의 환경갈등과 양평의 대안적 지역발전운동을 사례로"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환경연구기금) 1999.6~2000.5 연구보조원, "농축임산부산물의 리사이클링에 의한 환경친화적 농업개발에 관한 연구 - 진안 상수원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환경연구기금,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권영근 소장 책임) 1999.8~12 연구책임, "국내 유전자조작식품 실태조사"(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1~3 위촉연구원, "지방자치단체 시행 공공근로사업의 시행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권오혁 박사 책임) 1998.10~12 연구보조원, “주민자치센터와 관련한 ‘문화의 집’ 수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김필두 박사 책임)
●학술단체 한국공간환경학회, 한국농촌사회학회, 한국환경사회학회, 비판사회학회, 한국지역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
●수상 1999.8 우수논문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 논문제목 "유전자변형생물체 및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담론분석 - 국내 논의를 중심으로"
●출판물
단행본 장 허남혁, 2000, "유전자조작을 둘러싼 담론들“,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허남혁, 2000,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하여: 국내외 GMO 반대운동의 현황과 전망“,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허남혁, 박민선, 2000, "GMO 농작물의 최근 동향“,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학술논문 허남혁, 2009, "생협 생산자 조직의 생산-소비관계 변화: 홍성 풀무생협 사례연구", 『농촌사회』, 19(1): 161-211, 한국농촌사회학회. 정규호, 허남혁, 2005, "정보기술과 자원.환경의 보전", 『공간과 사회』, 24, 한국공간환경학회. 이영민, 허남혁, 2001, “환경갈등과 저항운동의 변주곡: 팔당 상수원 지역의 환경갈등과 양평의 대안적 지역발전운동을 사례로”『교보교육문화논총 제4집(환경편)』, pp.275-311. 이영민, 허남혁, 2001, “농촌지역 환경갈등과 농촌주민 환경운동의 역할과 의미 :양평군 팔당지역 유기농업운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7(4), pp.18-32.
학술대회 허남혁, 2004, "유전자조작의 정치생태학", <신자유주의와 환경의 위기>, 한국공간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2004.11.26 서울 프란치스코 교육관) 허남혁, 2004, "농식품 연구의 흐름과 패러다임 변화: 질적 전환과 자연, 위험의 문제", <세계화, 먹거리, 식품안전>, 한국농촌사회학회/한국환경사회학회 공동 200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문(2004.5.7 서울 가톨릭대학교). Lee, S. H. 공저, "From Resistance to Life: The Case of Water Saving Movement and Organic Agriculture of Yangpyeong County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lternative Geographies of Asia in the New Millenium : the 2nd meeting of the East Asian Regional Conference of Alternative Geography(EARCAG), Baptist University, Hong Kong, 6-9 Dec 2001. Lee, S. H. 공저, "Environmental Conflicts on Freshwater Supp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esh Water Conflicts and Sustainable Policy in Asia-pacific Region : Korea-Australia Fresh Water Conflict Conference, Taegu University, Taegu, Korea, Nov 12, 2001.
학술잡지글 •"현대사회에서 농업과 먹거리 그리고 자연환경 - 과거의 반성과 미래의 도전", 『Our Planet』통권 제17호(2004년 겨울), UNEP 한국위원회, 2004. •"농업, 식품의 위기와 대안적 네트워크의 구상", 『환경과 생명』, 통권 39호(봄), pp.131-153. 2004.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 한국도시연구소 환경연구부, “한국에서의 적녹연대”, 『환경과 생명』, 통권32호(2002년 여름), 2002.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 한국도시연구소 환경연구부(책임집필), “광우병과 위험사회”, 『환경과 생명』, 통권 27호(봄), 2001. •“다국적기업과 황금쌀의 음모”, 『녹색평론』, 통권 55호(11/12월호), 녹색평론사, 2000.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의 미래는: 유전자조작인가 유기농업인가”, 『다른과학』, 통권 9호(가을/겨울), 당대, 2000, pp.29-37. •“WTO상의 식품안전성 문제 검토: SPS와 TBT협정을 중심으로”, 『농민과 사회』, 통권 23호(여름),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 pp.174-189. •“농업생물다양성 보전의 진로: WTO TRIPs 협약의 의미와 제3세계의 저항”, 『농민과 사회』, 통권 22호(봄),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 pp.143-159. •“지적재산권 vs 농민·지역공동체의 권리”, 『다른과학』, 통권 8호(봄/여름), 당대, 2000, pp.100-109.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 한국도시연구소 환경연구부(부분집필), “지속가능한 사회와 신뢰의 구축”, 『환경과 생명』, 통권 26호(겨울), 2000.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 한국도시연구소 환경연구부(책임집필), “식품 안전성 및 유전자 조작 문제의 동향과 전망”, 『환경과 생명』, 통권 23호(봄), 2000. •“우리는 왜 GMO를 반대하는가”, 『녹색평론』, 통권 53호(7/8월호), 녹색평론사, 2000, pp.103-109. •“경북 의성 쌍호공동체, 농민운동의 과거와 현재”, 『농민과 사회』, 통권 24호(가을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 pp.214-221. •“유럽의 식품안전성 파동: 동향과 검토”, 『농민과 사회』, 통권 21호(겨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 pp.213-222. •“농업생명공학의 최근 동향”, 『농민과 사회』, 통권 20호(가을),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 pp.131-142. •“EU의 DG VI와 미 농무부의 최근 동향”, 『농민과 사회』, 통권 20호(가을),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 pp.143-157. •“다이옥신 사태와 위험사회” 『처음처럼』, 통권 14호(7/8월), 내일을 여는 책, 1999.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부분집필), “환경 정치와 개발 정치, 그 아득한 거리에 관하여”, 『환경과 생명』, 통권 18호(겨울), 1998.
서평 •"도시자연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oncrete and Clay>(Gandy, 2002)",『한국지역지리학회지』11(3), 2005 •"세계화 시대, 우리 농업과 먹거리를 어떻게 다시 살릴 것인가 -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반다나 시바, 2003)", 『녹색평론』, 통권 71호(7/8월호), 녹색평론사, 2002 •“<생명의 느낌>(이블린 폭스 켈러, 2001)", 『녹색사회』, 통권 제2호(2001년 겨울), (사)대구경북환경연구소. 2001.
번역글(학술) •엔리케 레프, “자연의 사회적 재전유에 관하여”, 『공간과 사회』 통권 제16호(2001년), 2001. •마르티네즈 알리에르, “생물다양성의 상품화”, 『농민과 사회』, 통권 21호(겨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 •애쉬하임, 던포드, “지역의 미래”, 『공간환경』 통권 59호(봄), 한국공간환경학회, 1998.
대중 에세이 및 칼럼 •『매일신문』매일춘추 주 1회씩 총7주 (2004년 9월-10월) •“유전자조작식품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사회경제적 측면", 『월간 신앙세계』2004.12. •“신자유주의와 환경문제", 『경인교대신문』, 제442호. 2004.3.2. •“인터넷 대란의 교훈은 다양성의 소중함", 『한겨레신문』, 2003.1.30. •“GMO 반대운동의 의의”, 『참여광장』, 통권 11호(7/8월호), 대구참여연대, 2001. •“유전자조작식품의 모든 문제점들”, 『평론원주』, 2001.6. •“자립농업의 길 II: 지속가능한 농업", 『방송통신대학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1.3. •"유전자조작식품(GMO) 문제, 어떻게 해야할까", 『생협신문』, 생협중앙회, 2001.3. •“유전자조작식품, 먹어도 될까요”, 『녹색가게』, 서울 YMCA, 2001.3. •“GMO 표시제의 문제점”, 『한국농정신문』, 2001.1. •"유전자조작 '다수확 벼' 환상 버려야", 『한겨레신문』, 2000.10.17. •“유전자조작식품 반대 생명운동연대'의 출범”, 『흙내』, 통권 14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5. •“유전자조작식품이 불소화 문제에 주는 교훈”, 『수돗물불소화반대』, 수돗물불소화반대국민행동, 2000.4.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 채택에 즈음하여”, 『농어연소식』, 통권 11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2. •“유전자조작 농산물, 무엇이 문제인가” 『귀농통문』 통권 12호(2000년 1월), 전국귀농운동본부, 2000. •“코덱스 유기식품기준과 우리나라 환경농산물 품질관리제도”, 『농어연소식』, 통권 7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9. •“생명공학기업과 연구자들의 환상”, 『대학신문』, 서울대학교, 1999.6.12. •“다이옥신, 자연의 경고”, 『한겨레신문』, 1999.5.26.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10) 국제협동조합연맹(ICA)", 『흙내』, 통권 19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7.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9) 농약행동망 아시아태평양(Pan AP)”, 『흙내』, 통권 16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7.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8) 국제유전자원행동(GRAIN)”, 『흙내』, 통권 15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6.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7) 대지를 지키는 모임(大地を守る會)”, 『흙내』, 통권 14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5.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6) 국제농촌기금(RAFI)”, 『흙내』, 통권 13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4.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5) 영국의 토양협회(Soil Association)”, 『흙내』, 통권 12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3.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4) 생물민주주의와 유기식품 소비자연합”, 『농어연소식』, 통권 11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2.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3) 식량 및 발전정책연구소(Food First!)”, 『농어연소식』, 통권 10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1.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2) 제3세계 네트워크(TWN)”, 『농어연소식』, 통권 9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 12. •“외국단체 홈페이지 탐방(1) 미국의 농업무역연구소(IATP)”, 『농어연소식』, 통권 8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11.
기타 번역글 •바바라 아담, “산업적 식품에 대한 단상: 만물에는 제철이 있고 장소가 있다”, 『세계의 식료와 농정』, 통권 제9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1.9. •미구엘 알티에리, “진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의 가능성”, 『세계의 식료와 농정』, 통권 제7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1.4. •앤드류 킴브렐, "왜 생명공학은 세계를 먹여살릴 수 없는가“,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2000. •코너하우스, “식량? 건강? 희망?: 생명공학과 세계의 기아문제”,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2000. •GRAIN 외, “아시아의 밥그릇에 특허를 붙인다? : 쌀 관련 지적재산권에 대한 NGO들의 분석”,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2000. •매완 호, “반대 GMO!: 시민사회 대 기업제국”, 권영근 편, 『위험한 미래: 유전자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도서출판 당대, 2000. •데블린 쿠옉, “독약의 군주들: 농약카르텔”, 『세계의 식료와 농정』, 통권 제4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12. •윌리엄 헤퍼난, “곡물다국적기업의 세계 식량지배”, 『세계의 식료와 농정』, 통권 제1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8. •프레데릭 버텔, 존 벨라미 포스터, “이윤을 위한 굶주림: 서론”, 『농어연소식』, 통권 10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0. •전미 가족농 동맹 외, “농업에서의 유전자조작에 대한 미국 농민의 선언”, 『귀농통문』, 통권 13호, 전국귀농운동본부, 2000. •코너하우스, “GMO가 세계를 먹여살릴 수 없는 10가지 이유”, 『농어연소식』, 통권 9호,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999.12.
일반 토론회 •"GMO 문제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한 고찰", <GMO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천주교주교회의 생명윤리연구회 제4회 정기세미나(2004.11.20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의 환경행정과 매립장 투쟁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쓰레기매립장 확장문제 긴급토론회> (2004.10.4) •"농업, 자연, 그리고 불평등의 문제", <2004 전국환경활동가워크샵> 발제문(2004.7.2 강원도 양구) •“WTO 하의 식품안전성 문제 - SPS, TBT협약을 중심으로”,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제50차 월례연구발표회, 2000.7.29. •“생명공학은 농업의 미래인가?”, 생명공학 안전윤리 법제화를 위한 생명환경워크샵, 가톨릭환경연대, 2000.7.3. •“TRIPs와 식량독점”, 정보생명과 지적재산권 토론회, IP Left, 2000.4.1. •"GMO와 WTO, 그리고 농업문제", WTO 뉴라운드 대응전략 토론회, 투자협정·WTO반대 국민행동, 1999.11.4.
강연 및 교육 •“농업, 자연, 그리고 불평등의 문제",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실무자 교육(2004.7.21 서울 합정동 예수살이공동체) •“유전자조작과 광우병", 안동 가톨릭농민회 분회교육(경북 의성군 안사면 쌍호리), 2001.2. •"최근 GMO 문제와 반대운동의 동향 및 전망", 성남 주민생활협동조합, 2000.10. •"환경문제에 대한 지리학적 접근", 이화여대 사회생활학과 특강, 2000.10. •“생명공학은 농업의 미래인가?", 「당신의 미래를 유전자조작 한다? - 생명공학사회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참여연대 참여사회아카데미 14기 강좌, 2000.4.14.
자료집 •최병두 외, 『2003 한반도 생태환경보고서』, (사)환경과생명, 2003.12. (책임편집)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토종종자 보전 자료집』, 2001.12 (책임집필). •투자협정·WTO반대 국민행동,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반대한다』, 2000.10 (SPS협정과 식품안전성 부분 집필). •유전자조작식품반대 생명운동연대, 『유전자조작식료품, 무엇이 문제인가 - 대중교육자료집』, 2000.9 (책임집필).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에 대한 자료집』, 1999.12 (책임집필).
대학강의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전공 "아메리카 지역연구" (2009.1학기)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전공 "세계지리의 이해" (2009.1학기) •대구대학교 교양 "환경과 사회" / "영남지리답사" (2005.2학기)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전공 "아메리카 지역연구" (2005.1학기) •대구대학교 교양 "환경과 사회 - 농업/식품분야를 중심으로" (2004.2학기) - 정원30명 미달로 폐강 |
||||||||||||||||||||||||||||||||||||||||||||||||||||||||||||||||||||||||||||||||||||||||||
|
2009.6.30 새로고침 |